부당해고를 당했을 때 알아두어야 할 절차와 금전보상제

부당해고는 고용주가 합리적인 근거 없이 근로자를 일방적으로 해고하는 행위를 가리킵니다. 이런 상황에서 근로자는 본인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노동위원회에 구제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상황에서 노동위원회에 구제 신청이 가능한 것인지, 그리고 만약 자신이 부당해고의 피해자라면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봅시다.

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에 대한 구제 신청을 할 수 있는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근로계약의 종료에 합당한 근거가 없는 경우

2. 사업 운영의 필요성을 주장하지만 그러한 사항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해고당한 경우

3. '근로기준법'이나 이에 따른 '근로기준법 시행령'을 위반하고 해고당한 경우

4. 성별, 연령, 인종 등을 이유로 차별적인 대우를 받고 해고당한 경우

5. 성희롱 사건을 신고하고 이후 해고당한 경우

6. 육아휴직, 배우자의 출산휴가, 가족돌봄 등의 사유로 해고당한 경우

7. 고용주가 지켜야 할 해고절차를 준수하지 않고 해고한 경우

8. 근로자에게 지나치게 가혹한 징계를 가하고 해고한 경우

9. 업무상의 부상이나 질병 치료, 출산에 따른 휴직기간 혹은 이후 30일 이내에 해고당한 경우

위와 같은 상황에서는 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 신청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중요한 점은, 이 신청서는 해고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제출해야 하며, 신청 과정에서 해고 사유 등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첨부해야 합니다.

그리고 부당해고의 피해자가 원치 않는 원직복직 대신 선택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금전보상제'입니다. 이는 해고당한 근로자가 자신의 원하는 방식으로 근로계약을 종료하면서, 그 동안의 근무에 대한 적정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금전보상제'는 노동위원회가 적용 여부를 결정하며, 이는 근로자의 근무 기간 동안의 임금 상당액 이상의 금액을 보상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보상금은 해고 당일로부터 노동위원회의 판정일까지의 기간 동안 근로자가 정상적으로 근무하고 있었다면 받을 수 있었을 임금과 판정문이 송달되는 시점까지의 대략적인 1개월 분량의 임금이 합산되어 산출됩니다.

또한, 1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의 경우, 근무 기간 10년을 상한으로 하여 그 기간에 대해 0.2를 곱한 값을 1개월분의 임금에 추가로 곱해지는 금액이 보상금에 포함됩니다.

그러나, 부당해고된 근로자가 다른 직장에 취업하여 추가 수입을 얻었다면, 그 수입은 보상금에서 최대 30%까지 공제될 수 있습니다.

결국, 부당해고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근로자는 자신의 권리를 알고 이를 적극적으로 행사해야 합니다. 부당해고에 대한 신고, 노동위원회에 대한 구제신청, 그리고 가능한 경우에는 '금전보상제'를 활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를 통해 근로자 자신의 권리를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댓글 쓰기

0 댓글